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48

SQL 문법(1) 문법 설명 SELECT DISTINCT 열 열 중복 제거 열 AS 별칭 별칭 설정 ORDER BY 열지정 (정렬옵션) 오름차순 ASC, 내림차순 DESC AND 조건 WHERE절에서 조건 연결 OR 조건 WHERE절에서 조건 연결 !=, , ^= 서로 다르면 TRUE 반환 NOT 논리 부정 연산(TRUE->FALSE,역 성립) WHERE 열이름 IN(데이터1,...) OR연산 여러개 묶음 (NOT) BETWEEN A TO B A와 B사이 데이터 조회 LIKE ‘%S_’ 문자데이터 검색 IS (NOT) NULL NULL여부 확인 UNION 집합연산, 열의 타입 같아야함(중복 X) UNION ALL 중복허용, A∪B (합집합) MINUS A-B (차집합) INTERSECT A∩B (교집합) UPPER(문자열.. 2021. 7. 11.
백준 11654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Main1165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f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 s = bf.readLine(); int ch = s.charAt(0); System.out.println(ch); } } 개선점 : int a = System.in.read(); System.out.println(a); 으로 한번에 입력받으면 시간.. 2021. 7. 10.
Greedy_Algorithm (탐욕 알고리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1. 7. 10.
11 컬렉션 프레임웍(6) TreeMap TreeMap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진검색트리의 형태로 키와 값의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래서 검색과 정렬에 적합한 컬렉션 클래스이다. HashMap과 TreeMap의 검색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HashMap이 TreeMap보다 더 뛰어나므로 HashMap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만 범위 검색이나 정렬이 필요한 경우에는 TreeMap을 사용하자 TreeMap의 생성자와 메서드 TreeMap() : TreeMap객체를 생성 TreeMap(Comparator c) : 지정된 Comparator를 기준으로 정렬하는 TreeMap객체를 생성 TreeMap(Map m) : 주어진 Map에 저장된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TreeMap을 생성 TreeMap(SortedMap m) : .. 2021. 7. 10.
04 정확하고 다양한 결과 출력 WHERE절과 연산자 필요한 데이터만 출력하는 WHERE절 WHERE절은 SELECT문으로 데이터를 조회할 때 특정 조건을 기준으로 원하는 행을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여러 연산자를 함께 사용하면 더욱 세밀하게 데이터 검색이 가능하다. SELECT* FROM EMP WHERE DEPTNO = 30; WHERE절에 작성한 DEPTNO=30은 'EMP테이블에서 부서 번호 값이 30인 행만 조회하라'는 뜻이다. 즉 부서번호 30인 사람들의 데이터만 출력한 것이다. 이렇게 WHERE절은 많은 데이터 중에서 어떤 조건에 일치하는 행만을 골라내어 조회하는데 사용된다. WHERE절을 사용한 SELECT문의 기본형식은 다음과 같다. SELECT [조회할 열1 이름], [열2 이름], ... , [열N 이름] FROM [조회할 테이블 .. 2021. 7. 10.
11 컬렉션 프레임웍(5) TreeSet TreeSet은 이진 검색 트리(binary search tree)라는 자료구조의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컬렉션 클래스이다. 이진 검색 트리는 정렬, 검색, 범위검색(range search)에 높은 성능을 보여주는 자료구조이며 TreeSet은 이진 검색 트리의 성능을 향상시킨 레드-블랙 트리(Red-Black tree)로 구현되어 있다. 그리고 Set인터페이스를 구현했으므로 중복된 데이터의 저장을 허용하지 않으며 정렬된 위치에 저장하므로 저장순서를 유지하지도 않는다. 이진 트리(binary tree)는 링크드리스트처럼 여러 개의 노드(node)가 서로 연결된 구조로, 각 노드에 최대 2개의 노드를 연결할 수 있으며 루트(root)라고 불리는 하나의 노드에서부터 시작해서 계속 확장해 나갈 .. 2021. 7. 9.